튜닝 레퍼런스에 대한기초적인 질문입니다!!
2012.05.13 23:44
장호준님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궁금한게 생겼는데요..흔히 스피커 튜닝할때 레퍼런스 씨디를 통해서 준비해온 걸 쏘던데 그중...사인파 를 각 주파수 대역으로 플레이 해보는게 그주파수 대역이 잘나오는지 확인하기위한건가요? 그리고 sweep 125~1KHz 이렇게 플레이 해보는건어떠한걸 확인하려는 걸까요?? 또 pulse 1KHz 를 플레이 하는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Phase check +3-2 이건 위상체크 어떻게 몰한다는 말인가요?? 마지막으로 wobble tone 가 무엇이고 몰 체크하려고 하는걸까요?? 레퍼런스 씨디 리스트에 써있는것을여쭈어 봅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리하자면 이렇게 됩니다!!sine 50Hzsweep 125~1KHzphase check +3-2pulse 1KHz
wobble tone(sound) Wobble tone ↘ wobble tone ↗
wobble tone oct.up#1
wobble tone oct.up#2
정리하자면 이렇게 됩니다!!sine 50Hzsweep 125~1KHzphase check +3-2pulse 1KHz
wobble tone(sound) Wobble tone ↘ wobble tone ↗
wobble tone oct.up#1
wobble tone oct.up#2
댓글 4
-
이창광
2012.05.14 11:56
아 그렇군요!! 그래서 사인과 스윕을 사용하는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그러면 혹시 제가 기재해놓은 wobble tone(sound) Wobble tone ↘ wobble tone ↗
wobble tone oct.up#1
wobble tone oct.up#2 이건 어떤 웨이브며 왜 이걸 사용하는지...아예모르겠는데...호준님께서 아신다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이창광
2012.05.14 12:28
아!! 호준님!! 참고로 제가 여쭈었던 phase check +3-2 에서 위상체크에서 +3과-2는 무엇인지도 추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3, +2는 Balanced 신호의 Hot을 제품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를 확인하는 거라고 생각되네요. 그게 바뀌면 위상이 바뀌니까요..
보편적인 것은 1번이 그라운드, 2번이 Hot, 3번이 Cold 인데, 제조사에 따라 2번이 Cold, 3번이 Hot인경우가 있습니다.
Wobble Tone은 두 스피커 간의 위상차이를 찾기 위해서 사용되는 Tone입니다. 이 만들어진 톤을 사용해서 모니터 해보면 위상에 문제가 있는 주파수가 두 귀에 들리게 됩니다. 한쪽 귀는 밀고, 다른쪽 귀는 댕기게 되니까 들려지죠.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6 | [페북] 무선마이크 활용 | 장호준 | 2014.11.10 | 3552 |
95 | [페북] 심영보님 발제 - 물에 하는 접지 [1] | 장호준 | 2014.09.26 | 2564 |
94 | [페북] 이준식님 발제 - 프론트 필의 세팅 | 장호준 | 2014.09.11 | 2585 |
93 | [페북] 조영민님 질문 룸튜닝 | 장호준 | 2014.08.29 | 2690 |
92 | [페북] 어쿠스틱 기타 픽업 [1] | 장호준 | 2014.08.29 | 2954 |
91 | [페북] 라인음원에 대해서 | 장호준 | 2014.08.29 | 2460 |
90 | 스테이지 모니터의 간섭문제 질문입니다.. [1] | 오승철 | 2014.03.15 | 3049 |
89 | X-Dante가 나온다네요. [1] | 장호준 | 2014.02.13 | 6856 |
88 | 베린져 ADA8200 | 장호준 | 2013.12.10 | 8265 |
87 | Behinger X32 패밀리 시리즈 정리.. | 장호준 | 2013.12.10 | 10972 |
86 | Que Audio의 헤드원 마이크를 소개합니다. | 장호준 | 2013.12.10 | 8457 |
85 | Aviom이 단테 라이센스를 획득했답니다. | 장호준 | 2013.08.21 | 13921 |
84 | 앰프 사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 이상윤 | 2013.07.23 | 3073 |
83 | 야마하의 새로운 아나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콘솔입니다. 32채널 소매가가 이천불. [1] | 장호준 | 2013.07.20 | 4566 |
82 | 리버브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1] | 이종민 | 2012.10.19 | 3417 |
81 | 리버브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2] | 이종민 | 2012.10.15 | 3573 |
80 | 호준님! 저도 질문... 씽크에 대해... [3] | 신도용 | 2012.08.03 | 3464 |
79 | 질문 있습니다.. [1] | 이종민 | 2012.07.22 | 3374 |
» | 튜닝 레퍼런스에 대한기초적인 질문입니다!! [4] | 이창광 | 2012.05.13 | 18514 |
77 | 파워앰프의 입력레벨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이종민 | 2012.05.07 | 4664 |
스피커의 연결에는 간혹 잘못된 커넥터에 의해서, 또는 일부러 만들어진 역상 같이 정위상의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원하는 소리가 안나오게 될 수 있지요. 특히 한쪽만 역위상으로 되어 있다면, 해당되는 주파수는 위상차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걸 확인하기 위해서 주파수별로 정해진 레벨을 소리를 출력해 봅니다. 풀레인지 스피커처럼 아예 사용자가 위상을 반대로 하기 어려운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라인어레이처럼 많은 양의 스피커가 걸릴때는 간혹 그렇게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 훈련된 엔지니어가 그냥 잡아내는 내공을 가지고 있기도 하구요.
엔지니어들마다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배운대로 하겠죠. 저 같은 경우에는 제 귀를 많이 의존하는 경우입니다. 아무래도 역위상은 귀에 들리게 되거든요. 그리고 그렇게 되기까지 연습해보길 권합니다. 장비는 그저 돕는 정도로만.. 레퍼런스 씨디도 자주 들어 음색적 발란스가 귀에 익은 음악을 틀기도 합니다.
Sweep의 경우가 좀더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사이렌처럼 삐~익 돌려가면 Combfiltering같은 효과가 들리게 되죠.